Beginner
2024-04-10

k번째 수

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, k번째에 있는 수를 반환하는 함수 구현하기

#99일지#99클럽#TIL#개발자스터디#코딩테스트#항해
직접 풀러가기

문제 설명

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,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.

예를 들어 array가 [1, 5, 2, 6, 3, 7, 4], i = 2, j = 5, k = 3이라면

  1.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[5, 2, 6, 3]입니다.
  2.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[2, 3, 5, 6]입니다.
  3.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.

제한 사항

  • array의 길이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.
  • array의 각 원소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.
  • commands의 길이는 1 이상 50 이하입니다.
  • commands의 각 원소는 길이가 3입니다.
arraycommandsreturn
[1, 5, 2, 6, 3, 7, 4][[2, 5, 3], [4, 4, 1], [1, 7, 3]][5, 6, 3]

[1, 5, 2, 6, 3, 7, 4]를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. [2, 3, 5, 6]의 세 번째 숫자는 5입니다.

[1, 5, 2, 6, 3, 7, 4]를 4번째부터 4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. [6]의 첫 번째 숫자는 6입니다.

[1, 5, 2, 6, 3, 7, 4]를 1번째부터 7번째까지 자릅니다. [1, 2, 3, 4, 5, 6, 7]의 세 번째 숫자는 3입니다.

풀이

  1. 주어진 배열을 자른 부분을 담을 새로운 배열을 생성한다.
  2. commands의 길이만큼 반복문을 수행한다.
  3. commands 안의 원소에 따라 array를 slice() 한다. ※ 배열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함에 주의해야 한다.
  4. 새 배열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.
  5. 정렬된 배열에서, k번째 값을 가져와서, answer 배열에 push()한다.
  6. 반복문이 완료된 answer 배열을 반환한다.
function solution(array, commands) {
    var answer = [];
    let sArray = [];
    
    for(let i = 0; i< commands.length; i++){
        // i부터 j만큼 배열 자르기
        sArray = array.slice(commands[i][0]-1, commands[i][1]);
          // 자른 배열 정렬
        sArray = sArray.sort((a,b)=>a-b);
        // k번 째 값 저장
        answer.push(sArray[commands[i][2]-1])
    }
    return answer;
}

for 문 대신 map 을 사용한다면, 아래와 같이 구현할 수 있다.

function solution(array, commands) {
    return commands.map(command => {
        const [start, end, position] = command;
        // i부터 j만큼 배열 자르기, 정렬 후 k번째 값 저장
        return array.slice(start - 1, end).sort((a, b) => a - b)[position - 1];
    });
}

Python

def solution(array, commands):
    answer = []

    for command in commands:
        # i부터 j만큼 배열 자르기
        s_array = array[command[0]-1:command[1]]
        # 자른 배열 정렬
        s_array.sort()
        # k번 째 값 저장
        answer.append(s_array[command[2]-1])

    return answer

이전에 학습했던 list comprehension을 사용하면 아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.

def solution(array, commands):
    return [sorted(array[i-1:j])[k-1] for i, j, k in commands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