99Club
Posts

© 2025. woongsnote All rights reserved.

Beginner
2024-04-26

체육복

체육복이 있어, 체육 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학생의 최댓값을 반환하는 함수 구현하기

#99일지#99클럽#TIL#개발자스터디#코딩테스트#항해
직접 풀러가기

문제 설명

점심시간에 도둑이 들어, 일부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 당했습니다. 다행히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이 이들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려 합니다. 학생들의 번호는 체격 순으로 매겨져 있어, 바로 앞 번호의 학생이나 바로 뒷 번호의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4번 학생은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. 체육복이 없으면 수업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체육복을 적절히 빌려 최대한 많은 학생이 체육 수업을 들어야 합니다.

전체 학생의 수 n, 체육복을 도난 당한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lost,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reserve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체육 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학생의 최댓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.

제한 사항

  • 전체 학생의 수는 2명 이상 30명 이하입니다.
  •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.
  •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.
  •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만 다른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.
  • 여벌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 당했을 수 있습니다. 이때 이 학생은 체육복을 하나만 도난 당했다고 가정하며, 남은 체육복이 하나 이기에 다른 학생에게는 체육복을 빌려줄 수 없습니다.

입출력 예시

nlostreservereturn
5[2, 4][1, 3, 5]5
5[2, 4][3]4
3[3][1]2

풀이

이 함수는 학교 체육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학생 수를 계산한다. 체육복을 잃어버린 학생들과 여분의 체육복을 가진 학생들의 목록을 받아 처리한다.

초기에는 전체 학생 수에서 체육복을 잃어버린 학생 수를 빼서 기본적으로 참여 가능한 학생 수를 설정한다.

그 다음, 체육복을 잃어버렸지만 여분이 없는 학생들과, 여분이 있으나 체육복을 잃어버리지 않은 학생들을 각각 구분한다.

이렇게 여분의 체육복이 있는 학생들 중 실제로 다른 학생에게 체육복을 줄 수 있는 학생들만을 추려내어 효율적으로 체육복을 배분할 준비를 한다.

체육복이 필요한 학생 목록을 정렬한 후, 각 학생이 바로 앞번호나 바로 뒷번호 학생에게서 여분의 체육복을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한다.

가능한 경우에는 해당 여분을 제거하고, 준비된 학생 수를 증가 시킨다.

최종적으로, 전체 학생 수를 반환한다.

JavaScript

function solution(n, lost, reserve) {
    let answer = n-lost.length;
    
    let realLost = lost.filter((l)=>!reserve.includes(l));
    let realReserve = reserve.filter((r)=>!lost.includes(r));
    
    answer += lost.length - realLost.length;
    
    realLost.sort((a,b)=>a-b);
    
    realLost.forEach((l)=>{
        if(realReserve.length === 0) return;
        
        if(realReserve.includes(l-1)){
            realReserve = realReserve.filter((r)=> r !== l-1 );
            answer++;
        }
        else if(realReserve.includes(l+1)){
            realReserve = realReserve.filter((r)=> r !== l+1 );
            answer ++;
        }
    })
    
    return answer;
}

Python

def solution(n, lost, reserve):
    answer = n - len(lost)
    
    real_lost = [l for l in lost if l not in reserve]
    real_reserve = [r for r in reserve if r not in lost]
    
    answer += len(lost) - len(real_lost)
    
    real_lost.sort()
    
    for l in real_lost:
        if len(real_reserve) == 0:
            break
        
        if l - 1 in real_reserve:
            real_reserve.remove(l - 1)
            answer += 1
        elif l + 1 in real_reserve:
            real_reserve.remove(l + 1)
            answer += 1
    
    return answer